자동차보험 자차 포함·미포함 보험료 실제 차이 계산 2025|브레이크이븐(손익분기) 찾는 가장 쉬운 공식

갱신할 때 가장 많이 묻는 질문이죠. 

자차 포함·미포함 보험료 실제 차이 계산만 제대로 하면 감으로 결정할 일이 없습니다. 

내 주행 패턴과 면책금, 예상 수리비를 숫자로 넣어 브레이크이븐을 구하면, 자차를 넣는 게 유리한지 바로 판단할 수 있어요. 

이 글은 예시 숫자와 루틴을 제공해 자차 포함·미포함 보험료 실제 차이 계산을 누구나 쉽게 따라 하도록 돕습니다.

핵심 공식|자차 포함·미포함 보험료 실제 차이 계산의 뼈대

  • 추가보험료(연) = ΔP = (자차 포함 보험료) − (자차 미포함 보험료)

  • 1회 사고 시 예상 지급액 = max(수리비 R − 면책금 D, 0)

  • 연간 손익분기 사고확률(p_be)

    • p_be = ΔP ÷ (R − D) (단, R > D일 때만 의미 있음)

해석: 연간 실제 사고확률 p가 p_be보다 크면 자차 포함이 유리, 작으면 미포함이 유리합니다.

예시 숫자 ①|기준 보험료 60만원, 자차 추가 시 +18만원(ΔP=18만원)

  • 면책금 D=50만원, 평균 수리비 R=200만원

    • p_be = 18만원 ÷ (200−50=150만원) = 0.12 → 12%

  • 면책금 D=50만원, R=100만원

    • p_be = 18 ÷ (100−50=50) = 0.36 → 36%

  • 면책금 D=50만원, R=700만원

    • p_be = 18 ÷ (700−50=650) ≈ 2.8%

요약

  • 경미한 수리(R가 낮음) 위주라면 p_be가 높아져 자차 이득 조건이 까다롭습니다.

  • 고가 수리 가능성이 있으면 p_be가 낮아져 자차가 유리해집니다.

예시 숫자 ②|같은 조건, 면책금만 20만원으로 낮추면?

  • D=20만원, R=200만원 → p_be = 18 ÷ (180) = 10%

  • D=20만원, R=100만원 → p_be = 18 ÷ (80) = 22.5%

  • D=20만원, R=700만원 → p_be = 18 ÷ (680) ≈ 2.6%

포인트

  • 면책금(D)을 낮출수록 보험사가 지급하는 금액이 커져 p_be가 낮아집니다.

  • 즉, 면책금 낮음 = 더 적은 사고확률에서도 자차가 유리해질 수 있음.

1분 루틴|내 숫자로 바로 계산하기

  • ΔP 산출: 최근 견적에서 “자차 포함 − 미포함” 금액 차이(연).

  • D 선택: 20/30/50만원 중 내 감내 수준.

  • R 가정:

    • 경미(도어·범퍼): 80~150만원

    • 중간(패널·램프·서스): 150~300만원

    • 고가(다중부품/수입차): 500만원+

  • ④ p_be = ΔP ÷ (R − D) 계산.

  • ⑤ 내 연간 사고확률 추정: 주행거리, 주차환경, 운전경력으로 보수적으로 잡기.

  • ⑥ p ≥ p_be면 자차 포함, p < p_be면 미포함 또는 면책금·특약 조정 후 재계산.

운전자 범위와 보장한도(대물, 자손/자상, 자차 등)

상황별 가이드|어떤 프로필이 자차에 더 우호적일까?

  • 신차/수입차/고가 부품 비중↑

    • 고액 수리 가능성↑ → p_be↓ → 자차 권장

  • 주차 환경 열악(노상·밀집 지역), 야간 운전 잦음

    • 경미/중간 사고빈도↑ → 자차 권장

  • 저주행(연 6,000km 이하), 주차장 환경 양호, 무사고 경력

    • p 낮을 가능성 → 자차 선택적 (면책금 낮추거나 ΔP가 작은 상품 위주로)

  • 장거리/외근 잦음

    • 노출시간↑ → 자차 권장, 면책금은 30~50만원 사이에서 테스트

비용 미세조정 팁|같은 보장에 가격만 낮추기

  • 블랙박스·마일리지·안전운전 특약부터 얹기(전/후 금액 캡처).

  • 자차 면책금 20↔30↔50만원 3단계로 바꿔 보고 ΔP와 p_be를 재계산.

  • 운전자 범위(1인/부부/가족)와 최소 연령 상향은 보험료를 크게 좌우.

  • 동일 조건으로 3곳 이상 견적 비교 후 최저가 TOP3만 남기기.

운전자 범위와 보장한도(대물, 자손/자상, 자차 등)

자주 묻는 질문(FAQ)

  • Q. ΔP가 작으면 자차가 항상 유리한가요?
    A. 경미 사고만 가정하면 그럴 수도 있지만, 고액 수리 1회가 모든 계산을 뒤집습니다. R의 분포를 보수적으로 잡으세요.

  • Q. 내 사고확률(p)은 어떻게 추정하죠?
    A. 최근 3~5년 사고이력, 연간 주행거리, 주차환경, 운전시간대(야간/우천)로 상·중·하 범위를 정하고 보수적으로 사용하세요.

  • Q. 자차를 빼고 나중에 넣어도 되나요?
    A. 가능하지만, 변경 시점·언더라이팅 기준에 따라 보험료가 달라질 수 있어 갱신 주기에 맞춰 조정하는 편이 간단합니다.

결론|내 조건에서 “숫자”로 결정하자

자차 포함·미포함 보험료 실제 차이 계산은 ΔP, D, R, p 네 가지면 충분합니다.

p ≥ ΔP ÷ (R−D)이면 자차 포함, 아니면 미포함 + 조건 재조정.

오늘 10분만 투자해 내 숫자를 넣어보세요. 결정이 훨씬 선명해집니다.

운전자 범위와 보장한도(대물, 자손/자상, 자차 등)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