휴대폰만 있으면 환전·결제·송금이 다 됩니다. 문제는 외화 지갑 앱 비교(토스·하나·와이즈) 중 무엇이 내 일정과 예산에 맞는지죠.
오늘은 광고 대신 합계로 따져 고르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. 시작–중간–마무리까지 외화 지갑 앱 비교(토스·하나·와이즈)라는 기준을 붙잡고 볼게요.
선택 기준 10가지(숫자 몰라도 끝나는 체크리스트)
-
환율 타입: 중립 환율 기반인지, 스프레드/버퍼가 있는지
-
수수료 표시: 결제·전환·인출 전 미리보기 합계를 보여주는지
-
지원 통화/국가: 자주 쓰는 통화(USD·JPY·EUR 등)와 목적지 커버리지
-
충전/입금 경로: 계좌이체·카드 충전·급여입금 지원 여부
-
결제 수단: 실물·모바일 카드, 가상카드(온라인 보안)
-
ATM/현금 인출: 무료 구간, 기기 수수료 고지 안내
-
자동화: 목표가/변동폭 알림, 자동환전, 정기 충전
-
환불/분쟁: 재환전 손익·환불 처리 속도·증빙 내보내기
-
한도/보안: 2단계 인증, 일·월 한도, 지역 제한
-
가족/공동 기능: 더치페이·공유 예산·카드 추가
결론: 앱 자체 수수료보다 합계(환전/전환 + 결제/브랜드 + ATM/기기 + 주말가)로 판단하세요.
토스 — 외화 지갑 앱 비교(토스·하나·와이즈) 중 “국내 결제 동선이 가장 익숙”
-
강점
-
국내 계좌 연동이 쉬워 충전/환불 동선 짧음
-
환율 알림(목표가·변동폭)과 자동환전/예약 사용이 간단
-
카드/모바일지갑 결제 연결이 쉬워 현지통화 결제 루틴 만들기 좋음
-
-
쓸 때 팁
-
큰 금액은 평일 분산 충전 → 여행 전 필요 통화만 전환
-
결제는 Local Currency 고정, DCC 팝업은 거절
-
자동환전은 최소 금액으로 테스트 후 단계 확장
-
하나(글로벌페이·환전지갑 계열) — “국내 은행 채널·픽업과 연계가 편함”
-
강점
-
지점/공항 수령 루틴과 연동이 익숙, 권종 요청이 쉬움
-
카드와 지갑이 붙어 있어 결제↔현찰 전환 동선이 단순
-
이벤트·우대율 조합이 많아 소액 환전에 유리한 순간이 생김
-
-
쓸 때 팁
-
우대율이 높아도 픽업/권종/변경 비용 여부를 합계로 확인
-
다국가 일정은 USD 일부 보관 → 입국 전 필요 통화만 전환
-
현찰이 남으면 재환전보다 다음 여행 이월을 우선 검토
-
와이즈(Wise) — “다통화 보관·국경간 송금에 강함”
-
강점
-
다통화 잔액 보관, 국경간 송금 미리보기가 투명
-
중립 환율 기반 구조에 변동/고정 수수료가 분리 표기
-
해외 온라인 결제·구독에 가상카드가 유용
-
-
쓸 때 팁
-
송금은 동일 금액을 넣어 수취액 미리보기로 비교 후 실행
-
주말·시간외 큰 전환은 피하고, 자동충전은 상한 설정
-
ATM은 무료 구간·기기 수수료 고지를 보고 1~2회로 묶기
-
상황별 추천 조합(3가지면 충분)
-
여행 결제 위주(현찰 적음)
-
토스 또는 하나 카드 연결 + 환율 알림 + 소액 현찰은 은행 ATM 1회
-
-
유학/장기 체류(송금·구독 多)
-
와이즈 다통화 지갑 + 송금 미리보기 + 토스/하나 보조결제
-
-
비정기 직구/구독 보안
-
와이즈 가상카드 + 현지통화 결제 + 결제일 D-3 알림
-
공통으로 지키면 돈 아끼는 9가지
-
장바구니·POS 통화는 항상 현지통화(Local Currency)
-
“Pay in KRW / Guaranteed rate” 팝업은 거절
-
큰 결제/전환은 평일·장중에
-
다국가 이동은 USD 적립 → 필요 통화만 전환
-
ATM은 은행 ATM에서 1~2회로 묶기, 기기 수수료 화면 확인
-
환불 많은 품목은 같은 카드/같은 통화로 묶기
-
자동환전은 최소 금액 테스트 후 확대
-
증빙(영수증·푸시 캡처) 클라우드 자동 업로드
-
합계 비교:
[환전/전환] + [카드/브랜드] + [ATM/기기] + [주말가]
자주 묻는 질문(FAQ)
-
Q. 수수료 0% 이벤트가 있으면 무조건 그 앱이 최저가?
-
아니요. 전환·브랜드·ATM·주말가가 남습니다. 합계로 보세요.
-
-
Q. 원화결제(DCC)가 편하던데요?
-
편하지만 대개 비쌉니다. 현지통화 고정이 안전합니다.
-
-
Q. 어떤 앱이 가장 싸요?
-
일정·금액·현찰 비중에 따라 달라집니다. 같은 금액을 각 앱 미리보기에 넣어 총액만 비교하세요.
-
1분 셋업(바로 적용)
-
자주 쓰는 통화 목표가 3단 + 변동폭 알림
-
메인 앱 1개 + 보조 1개로 줄이기(총 2개)
-
현지통화 결제 고정 + DCC 경고 ON
-
큰 전환은 평일 분산, ATM은 은행 1~2회
-
증빙 자동 저장: 푸시/영수증 캡처 클라우드 업로드
마무리 한 줄
정답은 앱이 아니라 경로입니다. 외화 지갑 앱 비교(토스·하나·와이즈)는 미리보기로 합계를 확인하고, 현지통화·평일·회수 최소화만 지키면 끝.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