갑자기 기회가 보일 때 우리는 버튼부터 누릅니다. 그런데 같은 버튼이라도 비용과 체결 품질은 크게 달라집니다.
주식/ETF 시장가/지정가/조건부 주문별 비용·체결 차이를 모르면 스프레드와 슬리피지로 조용히 새요.
반대로 주식/ETF 시장가/지정가/조건부 주문별 비용·체결 차이를 이해하면, 급한 순간에도 ‘얼마까지 손해를 허용할지’ 숫자로 통제할 수 있습니다.
지금부터 주식/ETF 시장가/지정가/조건부 주문별 비용·체결 차이를 실무 관점으로 정리합니다.
주문 유형 한눈 정리
-
시장가(Market)
-
특징: 즉시 체결 우선.
-
비용 성격: 호가 스프레드 전부 부담 + 슬리피지 발생 가능.
-
리스크: 변동성↑/유동성↓ 구간에서 체결가가 불리하게 튈 수 있음.
-
언제?: 뉴스 급등락·손절 급행 등 “시간>가격”일 때.
-
-
지정가(Limit)
-
특징: 내가 정한 가격 이하(매수)/이상(매도)에서만 체결.
-
비용 성격: 스프레드 일부 또는 0 부담(유리 호가에 섞이면 리베이트성 체감).
-
리스크: 미체결 가능, 기회비용 존재.
-
언제?: 유동성 평범·가격 통제가 최우선일 때.
-
-
조건부 주문(Stop·Stop-Limit·Trailing·IOC/FOK 등)
-
특징: 특정 조건 충족 시 자동 발동.
-
비용 성격: 발동 후 시장가면 슬리피지↑, Stop-Limit은 미체결↑.
-
리스크: 공백 시간·갭에서 과체결/미체결 모두 가능.
-
언제?: 손절·익절 규율, 돌파 매매, 업무 시간에 화면 못 볼 때.
-
총비용 공식
-
스프레드 비용(편도) =
체결금액 × (스프레드 ÷ 중간호가)
-
슬리피지 비용(편도) =
체결금액 × (평균 체결가 – 목표가) ÷ 목표가
-
주문 1건 수수료 =
max(금액 × 요율, 최소수수료) + 유관기관 수수료
-
왕복 총비용률(%) =
(수수료(왕복) + 스프레드(왕복) + 슬리피지(왕복) + 세금(매도)) ÷ 거래금액 × 100
기억할 것: 시장가는 스프레드+슬리피지가 크고, 지정가는 미체결 리스크가 크며, 조건부는 발동 이후의 주문 타입에 따라 성격이 갈립니다.
체결 품질을 가르는 변수 5가지
-
호가 단위(틱)와 스프레드 폭
-
틱이 큰 가격대는 최저 스프레드 자체가 큼 → 시장가 불리.
-
-
호가 깊이(누적 수량)
-
얕으면 여러 호가를 뚫어 슬리피지↑.
-
-
시간대
-
개장 직후/마감 직전·시간외는 호가 공백이 자주 생김.
-
-
주문 대기열(순번)
-
지정가 반복 정정은 순번 초기화로 체결 지연.
-
-
뉴스/공시
-
Stop·시장가 발동이 몰리며 체결가 점프.
-
상황별 최적 조합
-
소액·분할매수
-
지정가 우선, 금액을 모아 임계금액(= 최소수수료 ÷ 요율) 이상으로.
-
시간외·개장 직후 시장가 금지.
-
-
고빈도·뉴스 대응
-
HTS 단축키 + IOC/FOK 지정가로 잔량 미체결 최소화.
-
급등락 시 Stop은 Stop-Limit로 슬리피지 통제(미체결 감수).
-
-
장기 적립식 ETF
-
정규장 유동성 안정 구간 지정가.
-
자동주문은 발동 가격 폭을 여유 있게, 불필요한 재발동 방지.
-
발동형(조건부) 주문 디테일
-
Stop(시장가 발동)
-
장점: 실행 보장↑ / 단점: 변동성 구간 슬리피지↑.
-
팁: 가격 완충 폭을 넓히되, 급격한 갭에선 과체결 가능.
-
-
Stop-Limit(지정가 발동)
-
장점: 가격 통제 / 단점: 체결 보장↓.
-
팁: 트리거가와 리밋가 간격을 현실적으로.
-
-
Trailing(추적 손절/이익실현)
-
장점: 이익 보전 / 단점: 노이즈에 흔들릴 수 있음.
-
팁: 변동성 대비 **폭(%)**을 데이터로 조정.
-
-
IOC/FOK
-
장점: 잔량 미체결·대기 최소화 / 단점: 체결량이 적을 수 있음.
-
팁: 대량 주문 시 여러 호가를 나눠 배치.
-
주문 전 2분 체크리스트
-
스프레드% =
스프레드 ÷ 중간호가
-
호가 깊이(상위 3~5단 합) vs 내 주문 수량
-
현재 시간대(개장 초/마감 직전/시간외 회피 여부)
-
최소수수료 임계금액 계산
-
조건부라면 트리거가·리밋가·허용 슬리피지 숫자
자주 묻는 질문
-
Q. 시장가가 항상 빨라서 유리한가요?
-
속도는 빠르지만, 넓은 스프레드·얕은 호가에선 비용이 커집니다. 뉴스 직후엔 특히 지정가/IOC가 안전합니다.
-
-
Q. 지정가로만 하면 기회를 놓치지 않나요?
-
일부 놓칩니다. 대신 허용 슬리피지 폭을 정해 Stop-Limit 또는 IOC/FOK로 보완하세요.
-
-
Q. 조건부 주문은 수수료가 더 붙나요?
-
앱/계좌별로 가산이 있을 수 있습니다. 명세서로 가산 유무를 확인하세요.
-
결론
핵심은 간단합니다. “시간이 급하면 시장가, 가격이 급하면 지정가, 자동화가 필요하면 조건부.” 그때마다 스프레드·슬리피지·최소수수료를 같은 줄에 더해 총비용으로 판단하면 됩니다. 같은 아이디어라도 주문 타입만 바꿔도 체감 수익이 달라집니다. 오늘 한 번, 당신의 즐겨 쓰는 주문에 숫자를 붙여 보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