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외주식 NVDA 소수점 체결가/평단 계산 팁을 알아두면 체결이 쪼개져도 내 손익이 선명해집니다.
소수점 주문은 금액 단위 배분, 환전 방식, 부분 체결이 겹치며 평단이 흐려지기 쉽죠.
아래 공식을 손에 익히면 체결가 확인 → 평단 업데이트 → 다음 매수 금액 조절이 1분 안에 끝납니다.
1) NVDA 소수점 체결가 확인의 기본 흐름
-
체결 알림에서 체결가(USD), 체결 수량(주), 적용환율(KRW→USD), 수수료를 각각 확보합니다.
-
원화결제라면 주문마다 적용환율이 달라질 수 있고, 선환전이라면 환전 시점 환율이 고정됩니다.
-
금액주문은 내부 배분 로직으로 인해 표시가와 실제 체결가 사이에 미세한 차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.
2) NVDA 소수점 평단(USD 기준) 핵심 공식
여러 번 나눠 샀을 때 USD 기준 평단은 아래처럼 가중평균으로 계산합니다.
[
\text{평단(USD)} = \frac{\sum(\text{체결가(USD)} \times \text{체결 수량}) +
\text{거래수수료(USD 합계)}}{\sum \text{체결 수량}}
]
-
수수료를 평단에 포함하면 이후 손익 계산이 깔끔합니다.
-
체결 수량 합계가 보유 수량과 정확히 일치하는지 먼저 확인하세요(소수점 반올림 주의).
3) NVDA 소수점 평단(KRW 기준) 공식
원화 기준 보고서를 쓰거나 세무 계산에 필요할 때는 각 체결건의 환율을 반영해야 합니다.
[
\text{평단(KRW)} = \frac{\sum\big[(\text{체결가(USD)} \times \text{체결 수량})
\times \text{적용환율}\big] + \text{수수료(KRW 합계)}}{\sum \text{체결
수량}}
]
-
원화결제 혼합 체결: 주문마다 적용환율이 다르므로 체결건별로 따로 곱해 합칩니다.
-
선환전 혼합 체결: 해당 주문들은 같은 환전 단가를 적용하면 됩니다(환전 수수료·스프레드 포함 단가 사용 권장).
4) 금액주문 vs 수량주문, 평단에 미치는 영향
-
금액주문: “X원치 매수”는 체결 시점 가격에 맞춰 수량이 역산됩니다. 급변 구간에선 체결가가 들쭉해져 동일 금액 대비 수량 변동이 커질 수 있어 평단이 예측보다 높아질 때가 있습니다.
-
수량주문(소수점): 원하는 수량을 직접 지정하므로 목표가 민감도 관리가 쉽습니다. 다만 수수료·환전비는 여전하니 총비용은 별도로 더하세요.
5) 원화결제 + 선환전이 섞였을 때 평단 정리 루틴
-
USD 구간 합산: 체결가×수량을 전 체결건에 대해 합치고, 수수료(USD)를 더합니다.
-
KRW 구간 합산: 원화결제 체결건은 각각의 적용환율을 곱해 USD금액을 KRW로 환산해 더합니다. 선환전 체결건은 환전 단가로 환산해 더합니다.
-
보유 수량으로 나누기: 각 통화 기준 평단을 따로 계산(USD, KRW).
-
보고 기준 통일: 손익을 어떤 통화로 볼지 정하고 그 통화의 평단만 관리합니다. 혼동 방지에 좋습니다.
6) NVDA 소수점 체결가/평단 계산 팁 — 숫자 예시
-
1차: 금액주문 100,000원 체결, 체결가 120 USD, 수량 0.644주, 적용환율 1,295.0, 수수료 0.12 USD
-
2차: 수량주문 0.300주 체결, 체결가 118 USD, 선환전 환전단가 1,290.0, 수수료 0.06 USD
USD 평단
[
\frac{(120\times0.644)+(118\times0.300)+(0.12+0.06)}{0.944}
\approx \frac{77.28+35.40+0.18}{0.944}
\approx \frac{112.86}{0.944} \approx 119.55\ \text{USD}
]
KRW 평단(혼합 환율 반영)
[
\frac{(120\times0.644\times1295.0) + (118\times0.300\times1290.0) +
\text{수수료(KRW)}}{0.944}
]
수수료 원화환산을 더해 나누면 원화 평단이 나옵니다.
포인트는 각 체결건의 환율을 그대로 곱해 합친다는 것.
7) 오차를 줄이는 세부 요령
-
체결 직전 미리보기 새로고침 후 집행(금액주문 오차 축소).
-
정기매수는 유동성 좋은 시간대로 고정.
-
빈도↓·건당 금액↑: 같은 월 총액이라면 거래 횟수를 줄이는 편이 수수료·환전비 누적을 완화.
-
결제통화 설정을 고정해 이중 환전 방지.
-
배당 재투자(DRP)·주식분할이 있었는지 확인해 보유 수량을 최신화.
8) 체크리스트(평단 업데이트 전)
-
NVDA 체결가(USD)·체결 수량·수수료 확보
-
적용환율(원화결제) 또는 환전 단가(선환전) 확인
-
가중평균 공식에 각 체결건 그대로 대입
-
보고 통화(USD/KRW) 통일
-
금액주문/수량주문 혼용 시 시간대·오차 기록
Q&A
-
Q. 해외주식 NVDA 소수점 체결가/평단 계산 팁 한 줄 요약?
각 체결건의 가격×수량을 합치고 수수료를 더한 뒤, 총 수량으로 나누기—환전이 섞였으면 체결건 환율을 그대로 곱한 뒤 합산하세요. -
Q. 원화와 달러 중 어떤 평단을 관리할까?
손익을 주로 보는 통화 하나로 기준을 통일하는 게 실무적으로 편합니다. -
Q. 금액주문만 써도 되나요?
가능하지만 급변 구간엔 수량주문이 평단 예측오차를 줄여줄 때가 많습니다.
결론
해외주식 NVDA 소수점 체결가/평단 계산 팁의 요지는 단순합니다. 가중평균 + 체결건별 환율 반영만 지키면 복잡한 혼합 체결도 깔끔해집니다. 루틴을 굳히면 다음 매수 금액을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고, 목표 평단 도달 속도도 빨라집니다.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