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외주식 거래세·SEC Fee 포함 총비용 계산을 제대로 하면 “얼마 올라야 본전인지”가 즉시 보입니다.
핵심은 매수 비용 + 매도 비용 + 규제성 수수료 + (시장별 거래세/인지세)를 모두 같은 통화로 합쳐 보는 것.
아래 공식을 템플릿처럼 쓰면 어떤 증권사·시장에도 적용됩니다.
1) 용어 빠르게 정리
-
위탁수수료: 증권사 매매 수수료(정률/최소수수료).
-
환전 비용: 원화결제 시 주문 순간 스프레드가, 선환전 시 환전 시점 스프레드가 반영.
-
SEC Fee: 미국 주식 매도 체결 대금에 부과되는 규제성 수수료(단가/요율은 앱에 고지된 현재 값 사용).
-
TAF(FINRA): 미국 주식·옵션 매매에 부과될 수 있는 규제성 수수료(보통 주당/건당 상한 존재, 앱 고지 값 사용).
-
거래세/인지세(시장별): 영국·홍콩 등 일부 시장의 거래세/인지세/레비. 종목·시장별로 유무가 다름(앱·약관 고지값 사용).
포인트: 해외주식 거래세·SEC Fee 포함 총비용 계산은 “가변(수수료·스프레드) + 고지된 규제성 수수료/거래세”를 모두 합산하는 일입니다.
2) 총비용 ‘왕복’ 공식(USD 기준, 하나로 끝)
매수금액 (B), 매도금액 (S) (같은 통화 기준),
수수료율 (r), 최소수수료 (m), 환전 스프레드율 (e),
SEC 요율/단가 (q_{\text{sec}}), TAF 단가 (q_{\text{taf}}),
시장별 거래세율/단가 (t).
매수 비용
[
C_{\text{buy}}=\max(B\cdot r,\ m)+B\cdot e
]
매도 비용
[
C_{\text{sell}}=\max(S\cdot r,\ m)+S\cdot e+S\cdot
q_{\text{sec}}+q_{\text{taf}}+S\cdot t
]
왕복 총비용
[
C_{\text{round}}=C_{\text{buy}}+C_{\text{sell}}
]
손익분기율(%) (단순화: S(\approx)B 가정)
[
\text{Breakeven}\approx \frac{C_{\text{round}}}{B}\times100
]
-
원화결제라면 (e)는 주문 시점(매수/매도 각각) 스프레드,
선환전이라면 환전 시점 스프레드 1회만 반영(매수·매도 시 0). -
SEC/TAF/거래세는 앱·약관에 공지된 현재 값을 그대로 넣으면 됩니다.
3) 실전 예시(구조 이해용, 숫자는 내 앱 고지값으로 교체)
가정: (B=$1{,}000), (S=$1{,}050)
(r=0.10%), (m=$1), (e=0.20%)
(q_{\text{sec}}=) 앱 고지 요율 사용, (q_{\text{taf}}=) 앱 고지 단가 사용,
(t=0) (미국 현물 거래세 없음)
-
수수료(매수) = $1.00
-
환전비(매수) = $2.00
-
수수료(매도) = $1.05
-
환전비(매도) = $2.10
-
SEC Fee(매도) = $1{,}050 × q_{\text{sec}}
-
TAF(매도) = q_{\text{taf}}
왕복 총비용 = $6.15 + (SEC + TAF)
→ 손익분기율 ≈ (6.15 + SEC + TAF) ÷ 1000 × 100%
해외주식 거래세·SEC Fee 포함 총비용 계산은 이렇게 “일반 비용 + 규제성 수수료”를 매도 쪽에 얹는 구조가 기본입니다.
4) 시장별 거래세/레비가 있는 경우(영국·홍콩 등)
-
공식은 동일, 단 (t)(거래세/인지세/레비 요율·단가)를 추가.
-
어떤 시장은 매수에만, 어떤 시장은 왕복 모두에 붙습니다(앱 고지값 확인).
[
C_{\text{sell}}=...+S\cdot t_{\text{sell}},\quad
C_{\text{buy}}=...+B\cdot t_{\text{buy}}
]
5) 최소수수료 ‘컷’으로 소액 역전 방지
-
컷 = (m ÷ r)
-
컷 미만 주문이 많으면 실질 수수료율 급등 → 횟수↓·건당↑로 컷 이상 설계.
-
컷을 넘기면 정률 구간으로 들어가 왕복 비용이 즉시 낮아집니다.
6) 환전·체결까지 포함한 비용 낮추기 루틴
-
스프레드 실측: 스프레드(%) = ((적용환율 ÷ 기준율) − 1) × 100). 그 시점 낮은 쪽(원화결제 vs 선환전) 선택.
-
정규장 중간대에 집행해 체결 스프레드↓, 지정가+수량주문으로 슬리피지 상한 고정.
-
결제통화 고정으로 이중 환전 방지.
-
체결 후 CSV로 SEC/TAF/거래세 반영액을 확인해 다음 주문 파라미터 업데이트.
7) 자주 묻는 질문
-
Q. SEC Fee는 매수에도 붙나요?
일반적으로 매도 체결 대금에만 부과됩니다(앱 고지 기준 확인). -
Q. TAF는 어떻게 계산되나요?
보통 주당/건당 단가에 상한이 있습니다. 브로커 고지값을 그대로 사용하세요. -
Q. 거래세가 있는 시장은 어디인가요?
미국 현물은 거래세가 없지만, 영국·홍콩 등은 인지세/레비가 있을 수 있습니다. 종목·시장별 공지값을 넣어 계산하세요. -
Q. 원화결제와 선환전 중 무엇이 유리하죠?
수수료율이 같다면 그 시점 스프레드가 낮은 쪽입니다. 같은 공식에 값을 두 번 넣어 비교하면 끝.
결론
해외주식 거래세·SEC Fee 포함 총비용 계산의 핵심은 단순합니다.
-
매수·매도 수수료와 환전 스프레드를 각 단계에 넣고,
-
매도 쪽에 SEC/TAF를, 시장에 따라 거래세/레비를 더하며,
-
같은 통화로 합산해 손익분기율을 구하세요.
여기에 컷 관리·스프레드 실측·지정가/수량주문만 더하면, 어떤 시장에서도 가장 낮은 총비용으로 일관되게 체결할 수 있습니다.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