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물은 상대 차량·시설물 손해를 보상합니다.
경미 사고는 1억 안쪽에서 끝나지만, 수입 EV·상업시설·연쇄 추돌이 겹치면 곧바로 억 단위로 치솟습니다.
그래서 오늘 대물 20억+ 보장 설계 가이드(사례표)를 목록형으로 정리했습니다.
한도를 올리면 보험료는 소폭 증가하지만, 초과액 자기부담 리스크는 크게 줄어듭니다.
왜 20억+인가(핵심만)
-
수입차·전기차의 부품·모듈 교체 단가가 높음(램프·레이더·배터리 모듈).
-
동급 대차·견인·보관료·부속 시설물(방호벽·간판·유리·충전기)까지 누적.
-
**영업손실(휴업손해)**이 붙는 상업시설 파손 시 급증.
-
연쇄 추돌(다수 차량)·지하주차장·상업 밀집지 사고는 한 번에 수억~수십억도 가능.
-
현실적으로 10억은 “보통 상황”, 20억+는 드문 큰사고 방지막.
사례표(목록형)|사고 유형별 합산 예시
(모든 금액은 이해를 돕기 위한 가상의 예시 범위입니다.)
사례 A|지하주차장 수입차 1대 + 시설물
-
상대 수입 세단 외장·램프·센서 교체: 4,000만원
-
차단기·기둥 보수: 700만원
-
충전기 파손: 300만원
-
동급 대차 10일×15만원: 150만원
-
견인·보관: 20만원
-
합계: 5,170만원 (0.517억)
사례 B|3중 추돌(중형 2대 + 수입 소형 1대)
-
차량 수리(2,200 + 1,800 + 2,600만원): 6,600만원
-
대차(3대, 평균 10일): 500만원
-
도로 방호벽·표지: 500만원
-
합계: 7,600만원 (0.76억)
사례 C|상업시설 쇼윈도 파손 + 휴업손해
-
강화유리·프레임·집기: 2,800만원
-
휴업손해 7일×50만원: 350만원
-
합계: 3,150만원 (0.315억)
사례 D|수입 EV 측면 충돌 + 다대 파손
-
EV 배터리 모듈·램프·센서: 8,500만원
-
기타 3대 경미수리(각 600만원): 1,800만원
-
가드레일·표지: 700만원
-
EV 대차 20일×25만원: 500만원
-
견인 4대: 80만원
-
합계: 1억 1,580만원 (1.158억)
사례 E|도심 연쇄 추돌 + 상업시설 외벽 손상(드문 대형사고)
-
차량 8대 합계: 4억 5,000만원
-
상업시설 외벽·간판·유리·전선함: 5억 5,000만원
-
휴업손해·대차·견인 누적: 2억원
-
합계: 12억원 → 10억 한도면 초과 2억원은 본인 부담 위험.
→ 대물 20억+ 보장 설계 가이드(사례표)의 취지가 여기에 있습니다.
한도별 체감 차이(지수로 이해)
-
10억: 기준
-
20억: 보험료 +3~7%p 내외 상승, 대형사고 초과 부담 크게 감소
-
무한: 보험료 +6~12%p 내외, 최상위 방어막
(상품·운전이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전/후 견적 캡처로 확인하세요.)
1분 설계 루틴(복붙용)
-
① 운전자 범위·최소 연령·담보·면책금 고정 메모
-
② 대물 10억으로 베이스 견적 캡처
-
③ 대물 20억 → 무한 순서로만 바꾸며 각각 캡처(차액 기록)
-
④ 마일리지 → 블랙박스 → UBI 한 개씩 ON, 매번 캡처(곱연산 확인)
-
⑤ 동일 조건으로 3곳 이상 비교 → TOP3만 남김
-
⑥ 결제 직전, 입력값 초기화 여부 재확인(범위·면책금·대물)
운전자 범위와 보장한도(대물, 자손/자상, 자차 등)
특약·면책금 조합으로 “같은 한도, 더 낮은 가격”
-
마일리지(저주행): 기본요율 자체 하향.
-
블랙박스: 간편 인증 대비 할인 효율 우수.
-
UBI(안전운전): 점수 유지 가능할 때만.
-
자차 면책금 20/30/50만원 3단계 테스트로 체감 비용 최적화.
-
할인은 합산이 아니라 곱연산입니다(예: 10%+5% ≠ 15%, 약 14.5%).
손익 계산 메모(대물과 별개지만 함께 고려)
-
자차 포함/미포함 브레이크이븐 p_be
-
ΔP = 자차 포함 − 미포함(연)
-
R = 예상 수리비, D = 면책금
-
p_be = ΔP ÷ (R − D) → p ≥ p_be면 자차 포함 유리
-
FAQ
-
Q. 20억과 무한, 체감 차이가 큰가요?
A. 보험료 차이는 보통 한 자릿수 %p 범위지만, 초대형 사고에서 심리적·재무적 방어력이 큽니다. -
Q. 운전이 조심스러워 10억이면 충분하지 않을까요?
A. 나의 과실이 일부여도 대물 총손해액이 크면 부담이 생깁니다. 상업시설·다대사고 노출이 있으면 20억+ 권장. -
Q. 한도를 올리면 다른 담보를 낮춰도 되나요?
A. 비추. 최저가=최저보장이 되기 쉽습니다. 대물 상향은 특약·면책금으로 상쇄하세요.
결론|큰사고 한 번의 초과액을 “미리” 지운다
대물 20억+ 보장 설계 가이드(사례표)의 핵심은 단순합니다.
-
10억·20억·무한 3단 비교 캡처,
-
내 동선(지하주차·상업지·고속)에서의 최악 케이스를 상상,
-
특약과 면책금으로 가격을 다듬기.
오늘 5분만 투자해 한도를 올리고, 전/후 금액을 캡처해 두세요. 다음 갱신에도 같은 루틴으로 반복하면 더 빠르고 정확합니다.
운전자 범위와 보장한도(대물, 자손/자상, 자차 등)